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울혈성 심부전" 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총 12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건강정보 (1)
질환정보 (1)

부종이란 신체의 기본 구성 요소인 세포와 세포 사이에 수분이 과다하게 쌓이는 것을 말합니다. 흔히들 자고 일어나면 얼굴이 붓는다' , '얼굴이 푸석푸석하다' , '손발이 붓는다' , '소변이 적게 나온다' , '배가 나온다' , '반지나 신발이 꼭 낀다'등의 호소를 통해 자신이 부종이 있다고 호소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부종이 있는 것이 아니며, 부종이 있다고 해서 질병이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부종의 정도와 원인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우리나라 분들은 부종이 있으면 신장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은데 실제 신장의 문제에 의한 부종은 드문 편입니다. 부종을 호소하여 일차의료기관을 방문한 환자의 약 60%는 실제로는 부종이 없는데 부종을 호소한 사람이었고, 약 27%는 특발성 부종이었습니다. 특발성 부종은 여성들에 있어서 호르몬의 과다한 작용으로 염분 및 수분이 저류 되어 생기는 것으로 대개의 경우 서서 생활할수록, 오후로 갈수록 주로 다리가 부어 오르거나 배가 나오면서 체중이 증가하게 되며 아침에 일어날 때는 정상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이러한 특발성 부종은 병이 아니므로 신체 기능의 이상을 초래하지 않으므로 안심하셔도 됩니다. 흔하지는 않지만 만성신부전, 울혈성 심부전, 갑상선기능저하증, 간경화 등에서도 부종이 생길 수 있으며, 이런 경우는 이미 어느 정도 병이 진행된 상태이기 때문에 다른 소견들이 같이 나타나며, 혈액 검사 등에서 각 질환에 해당하는 소견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반복적인 이뇨제의 복용이나 소염진통제, 여성 호르몬제 등의 다양한 약물들도 부종을 일으키므로 약물 복용력을 정확히 의사에게 알려주시면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 아주 싱겁게 먹습니다. ▪ 평소보다 수분 섭취를 줄이도록 합니다. ▪ 낮 시간이나 이른 저녁 시간을 이용하여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하고 누운 상태로 30분 이상 쉽니다. ▪ 빨리 걷기, 수영 등의 유산소 운동을 하루 30분 이상 일주일에 최소 3회 이상 합니다. ▪ 비만이 있거나 과체중이 있는 사람은 체중을 줄여 나갑니다. ▪ 이뇨제나 붓기를 빼준다고 하는 생약 성분의 약을 의사와 상의 없이 반복적으로 먹는 것을 삼가합니다. 이비인후과 김광현 성명훈 내과 오명돈 김남중 가정의학과 허봉렬 유태우 조비룡 박민선

서울대학교병원 > 의학정보실 > 종합질병정보
정확도 : 30% 2017.07.28
병원소개 (2)

- 김경환, 최재웅 교수팀, 경도 이하의 삼첨판막 역류 조기치료 필요성미국 흉부외과학회, 유럽 흉부외과학회지 발표 좌측 심장판막의 이상으로 수술을 할 때 우측 심장판막 중 하나인 삼첨판막의 역류가 심하지 않더라도, 함께 수술하는 것이 수술 후 나타날 수 있는 삼첨판막의 심각한 역류를 예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는 삼첨판막의 역류가 심하지 않은 경우엔, 좌측 심장판막 질환만 수술하고 있다.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김경환, 최재웅 교수팀은 경도 이하 삼첨판막 역류의 조기치료 필요성이란 연구결과를 올해 초 미국 흉부외과학회에서 발표하고, 유럽심장흉부외과학회지 최근호에 게재했다. 심장에는 혈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문지기 역할을 하는 4개의 판막이 있다. 이 판막의 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판막질환은 판막이 좁아져 혈액이 잘 흐르지 못하는 협착증, 제대로 닫히지 못해 피가 거꾸로 흐르는 역류증이 있다. 성인에서 나타나는 판막질환의 다수는 심장의 좌측에 위치한 승모판막과 대동맥판막에서 나타난다. 이들 판막에 나타나는 질환은 대부분 우측 심장에 있는 삼첨판막의 역류를 동반하는데, 이 비율이 전체 삼첨판막 역류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삼첨판막 역류증은 삼첨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심장 수축 시 우심실에서 우심방으로 피가 대량 역류하는 질환으로 제때 치료 받지 않으면 호흡 곤란, 심박출량 감소, 울혈성 심부전 등으로 사망할 수 있다. 과거에는 근본 원인인 좌측 판막을 치료하면 삼첨판막의 역류도 자연스레 호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좌측 판막만 치료한 환자에서 삼첨판막의 역류가 심해지거나, 이로 인한 사망률이 높아지면서 현재는 중증도 이상의 삼첨판막 역류가 진단되면 좌측 심장판막과 함께 삼첨판막도 수술하고 있다. 김경환, 최재웅 교수팀은 2004년부터 2014년까지 승모판막(좌심방과 좌심실 사이 위치) 치환술을 받은 환자 중 경도 이하의 삼첨판 역류가 있는 환자 256명을 추적 관찰했다. *승모판막 치환술 = 기능을 하지 못하는 승모판막을 인공판막으로 바꿔주는 수술. 그 결과, 삼첨판막에 대한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환자의 6.3%에서 수술 후 중증도 이상의 삼첨판막 역류가 발생했다. 즉,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달리 경도 이하의 삼첨판막 역류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힌 것이다. 연구팀은 또한, 역류가 발생한 환자들에게 삼차원 특수링을 이용한 삼첨판륜 성형술을 시행한 결과, 어떠한 합병증도 없이 역류가 말끔히 사라졌음을 확인했다. 그동안 삼차원 링을 활용한 삼첨판륜 성형술은 심장박동 차단 등의 합병증이 있다고 보고돼, 수술에 대한 안정성이 입증되지 않았었다. *삼차원 특수링을 이용한 삼첨판륜 성형술 = 삼차원 링은 삼첨판막 고유의 해부학적 형태를 유지하면서 판막륜이 늘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 2000년대 초에 개발된 인공소재. 삼첨판막륜 성형술은 삼첨판막 주위에 삼차원 링을 둘러 가장 흔히 늘어난다고 알려져 있는 판막 부위를 붙잡아 삼첨판막 역류증을 예방한다. 연구의 책임 저자이자 집도의인 김경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삼차원 특수 링을 이용한 삼첨판륜 성형술이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으며, 경도 이하의 기능성 삼첨판막 역류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삼첨판륜 성형술 시행이 필요함을 입증했다며 적극적인 삼첨판륜 성형술은 삼첨판막 역류의 진행을 막고, 재수술을 줄여 환자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김 교수는 인공판막 수술을 받은 환자는 20년 이상의 장기적인 관리와 관찰이 필요하다. 환자의 안전한 생활과 생존율 향상을 위해 첫 심장 수술시 삼첨판막에 대한 동반수술이 필요함을 제시한 중요한 연구다고 덧붙였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88% 2017.12.29

좌측 심장 판막 수술 후 생기는 삼첨판막 역류증 14% → 1.1% 로 줄일 수 있다.- 김경환 교수, 세계 승모판막학회에서 3차원 링을 사용한 삼첨판막 성형술의 장기 성적 결과 발표좌측 심장 판막의 이상으로 수술을 할 때 우측 심장 판막 중 하나인 삼첨판막이 정상이더라도 함께 수술 하는 것이 수술 후 나타날 수 있는 삼첨판막 역류증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김경환 교수는 5월 2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세계 승모판막학회 (Mitral Conclave 2013) 에서 3차원 링을 사용한 삼첨판막륜 성형술의 장기 성적에 대해 구연 발표했다.삼첨판막 역류증은 삼첨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심장 수축 시 우심실에서 우심방으로 피가 대량 역류하는 질환으로 제때 치료 받지 않으면 호흡 곤란, 심박출량 감소, 울혈성 심부전 등으로 사망할 수 있다.좌측 심장에 있는 대동맥판막, 승모판막에 이상이 생겨 수술을 하면, 수술한 판막은 건강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측 심장에 있는 삼첨판막이 늘어나 삼첨판막 역류증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되면 환자의 예후가 나빠지므로 재수술이 불가피하나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아 전 세계 흉부외과 의사들의 고민으로 남아있다.김경환 교수팀은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좌측 심장 판막 수술시 MC3 삼차원 링을 이용하여 우측 심장의 삼첨판막을 함께 수술한(삼첨판막륜 성형술) 174명의 환자를 최장 8년 이상 추적 관찰하였다. * MC3 삼차원 링은 삼첨판막 고유의 해부학적 형태를 유지하면서 판막륜이 늘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 2000년대 초에 개발된 인공소재. 삼첨판막륜성형술은 삼첨판막 주위에 MC3 삼차원 링을 둘러 가장 흔히 늘어난다고 알려져 있는 판막 부위를 붙잡아 줌으로써 삼천판막 역류증을 예방한다.그 결과 김 교수팀이 좌측 심장 판막 수술과 함께 삼첨판막륜 성형술을 한 환자에서는 중등도 이상 삼첨판막 역류증 발생이 1.1%(2명)에 불과하였으며, 수술 전 폐동맥수축기혈압이 4815 mmHg 까지 증가되어 있던 것이 최종 추적관찰시 338 mmHg 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학계에 보고된 좌측 심장 판막 수술만 한 208명의 환자군에서 추적 관찰시의 중증 삼첨판막 역류증 발생률 14%(30명)보다 훨씬 우수한 예후이다.* 폐동맥수축기혈압은 30 mmHg 미만을 정상으로 보고 있으며, 고령 또는 비만 환자에서는 40 mmHg 정도까지도 정상으로 본다. 삼첨판막역류증의 중한 정도는 경도(mild)중등도(moderate)중증(severe)의 순서로 더 나빠진다.김경환 교수는 “좌측 심장 판막 수술 시 MC3 삼차원 링을 사용하여 삼첨판막륜 성형을 추가로 하는데 15분 내외의 시간이면 충분하고, 정확한 기법으로 시행하면 추후 판막역류의 발생률이 낮아 재수술이나 사망을 줄이는데 효과가 크다” 며 “판막 주변 조직의 손상을 염려하는 많은 흉부외과 의사들에게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안전한 수술법을 제시하였고, 관련된 심장판막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 말했다. 김경환 교수는 이 분야에서 국내 최다 수술건수와 대표 논문을 발표한 경력을 갖고 있으며, 최선의 수술 결과를 얻기 위한 기술적 고려 사항에 대해 직접 삼첨판막륜 성형술을 촬영한 심장수술 비디오를 발표하였다. 이 구연발표에 대해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흉부외과 의사들이 다수의 질문을 통해 관심을 보였으며, 기술적 고려 사항에 대해 자세한 내용을 알려줄 것을 요구하였다. [보충설명]1. 심장구조2. 판막이란 ?혈액의 역류를 막기 위해 심장에 존재하는 막이다. 심장의 수축과 이완에 맞추어 열리거나 닫히며 혈액을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한다. 3. 판막의 종류1) 좌측 심장 판막- 대동맥판막: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하여 대동맥의 피가 좌심실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여닫이 문 역할을 한다. - 승모판막: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하며, 심장 수축 시 좌심실에서 좌심방으로 피가 대량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여닫이 문 역할을 한다. 2) 우측 심장 판막- 폐동맥판막: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에 위치하며, 일종의 여닫이 문 역할을 하며, 폐동맥으로 간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여닫이 문 역할을 한다. - 삼첨판막: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위치하며, 심장 수축 시 우심실에서 우심방으로 피가 대량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여닫이 문 역할을 한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88% 2013.06.21
홈페이지 (8)

Sorafenib 투약 후 발생한 수족증후군 사례 [증례 #9] Sorafenib 정보 M /74 병력 간세포암 과거력 없음 진찰 및 검사소견 S orafenib 투약 후 양 손과 발에 피부 벗겨짐 증상 발생하였습니다. 조치 Sorafenib 중단하였습니다. 경과 Sorafenib 중단 후 증상 호전되었습니다. 유해반응평가 Sorafenib 투여 후 양쪽 손과 발에 피부 벗겨짐 증상 발생하였습니다. Sorafenib 투약 중단하고 2주 후 증상 호전되었습니다. 국내 허가사항상 수족 피부반응은 이 약을 투여했을 때 가장 보편적으로 발생하는 이상 반응이라고 보고, 간세포암 연구에서 수족증후군 발생률은 21% 임을 보고함 평가의견 Probable로 평가 향후조치 1. 중증도에 따른 투여량 변경(진행성 신장 세포암, 간세포성 암) 피부독성단계 발생상황 권장되는 투여량 변경 Grade 1 모든 발생 투여 지속 + 증상 완화를 위한 국소 치료 고려 Grade 2 1 차 발생 투여 지속 + 증상 완화를 위한 국소 치료 고려 7 일 이내 개선 X 또는 2 - 3 차 발생 투여 중단 ▶ 독성 증상이 Grade 0-1 으로 개선 되면 용량 감소시켜 재투약 4 차 발생 투여 중단 Grade 3 1-2 차 발생 투여 중단 ▶ 독성 증상이 Grade 0-1 으로 개선 되면 용량 감소시켜 재투약 3 차 발생 투여 중단 용량 감량: 400 mg bid ▶ 400 mg qd ▶ 400 mg qod 감소된 용량으로 28일 이상 투여 후 피부 독성이 Grade 0-1로 개선되면 약 용량 증량 가능 2.비약물 요법 손과 발을 뜨거운 물에 노출되지 않게 하고, 시원한 물에 담가 통증 완화 시킴 손과 발에 불필요한 마찰 제한 (조깅, 에어로빅 등) 손바닥과 발바닥 수분 유지와 보호를 위해 밤에 장갑이나 양말을 착용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기 위해 신발 깔창 이용 3.약물 요법 – ① 국소 치료제이용 약물 종류 효과 Topical antibiotics 물집과 침식 치료 Topical corticosteroid 항염증 , 항소양 작용 비타민 D 유도체 ( Calcipotriol , Calcitriol 등 ) 세포분화 촉진 및 증식 억제 , 항염증 작용 비타민 A 유도체 ( Tazarotene , Tretinoin ) 각질 형성 세포의 증식과 분화 조절 Urea 각종 각피증 및 건피증 치료 효과 Fluorouracil 항대사물질로 피부 세포성장 방해 국소 마취제 (lidocaine 등 ) 통증 조절 약물 요법 – ② 전신 치료제 약물 종류 효 과 전신성 진통제 (NSAIDs, Codeine, Pregabalin 등 ) 통증 완화 Oral corticosteroid 빠른 증상 개선 Antihistamine 항염 증 , 항소양 효과 Pyridoxine (vitamin B6) Sorafenib 치료 초기부터 복용 시 예방 효과 습진 , 접촉성 피부염 치료 효과 유해반응정보 매우 흔하게 (10% 이상 ) 흔하게 (1~10%) 때때로 (0.1~1%) 드물게 (0.01~0.1%) 면역관련 감염 , 림프구 감소증 모낭염 , 백혈구 감소증 , 빈혈 , 혈소판 감소증 아나필락시스반응 , 과민반응 혈관계 및 심장계 출혈 , 고혈압 홍조 , 울혈성 심부전 , 심근 허혈 QT 연장 위장관계 설사 , 오심 , 구토 , 변비 구내염 , 소화불량 , 연하곤란 , 위식도 역류질환 췌장염 , 위염 , 췌장관천공 내분비계 감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 대사 및 영양계 식욕부진 , 저인산혈증 저칼슘혈증 , 저칼륨혈증 , 저나트륨혈증 탈수증 피부 피부건조 , 발진 , 탈모증 , 수족피부반응 , 가려움 , 홍반 탈락성 피부염 , 여드름 , 표피탈락 , 과각화증 습진 , 다형 홍반 기타 피로 , 관절통 , 발열 , 체중 감소 등 독감유사질환 , 단백뇨 , 신부전증 , 근육통 등 여성 유방증 , INR 비정상 등 신증후군 Sorafenib의 수족증후군 가장 흔한 부작용(30%이상의 환자에서 발생 용량 의존적 독성 반응 Sorafenib 치료 시작 후 2~4주 후에 발생 일 반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부작용이 아니지만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침 참고문헌 1.약학정보원 - Sorafenib 2.Micromedex – Sorafenib 3.서울대학교 암병원-약물정보(넥시바정) 4.BAY 43-9006 exhibits broad spectrum oral antitumor activity and targets the RAF/MEK/ERK pathway and receptor tyrosine kinases involved in tumor progression and angiogenesis / Wilhelm SM, Carter C, Tang L, et al. / Cancer Res 2004 5.Risk of hand-foot skin reaction with sorafenib: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David CHU 외 3 / Acta oncologica 2008 6.카페시타빈 복용 중인 대장암 환자의 발 통증: 수족증후군과 통품의 감별 / 박정윤 / Asian Oncol Nurs 2014 7.Dermatologic symptoms associated with the multikinase inhibitor sorafenib. / Robert C 외 4인 / J Am Acad Dermatol 2009 8.The adverse effects of sorafenib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s / Ye Li 외 2 / Basic & clinical pharmacology & Toxicology / 2015 9.Evolving strategies for the management of hand-foot skin reaction associated with the multitargeted kinase inhibitors sorafenib and sunitinib/ Lacoture ME / oncologist 2008 10.Clinical 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Hand–Foot Skin Reaction Associated with Sorafenib in Combination with Cytotoxic Chemotherapy: Experience in Breast Cancer / Patricia Gomez 외 1 / Oncologist / 2011 11.Management of Sorafenib-Related Adverse Events: A Clinician’s Perspective / Marcia S. Brose 외 3 / Seminars in oncology 2014 12.Prevention and management of hand-foot syndromes / oncology nurse advisor 2010 13.Evolving strategies for the management of hand-foot skin reaction associated with the multitargeted kinase inhibitors sorafenib and sunitinib/ Lacoture ME / oncologist 2008 14.Sorafenib-associated hand-foot syndrrome treated with topical calcipotriol/ Serkan Demirkan 외 2인. / JAAD 2017 15.Hand foot skin reaction in cancer patients trated with the multikinase inhibitors sorafenib and sunitinib / M. E. Lacouture dhl 3 / Annals of Oncology 2008 16.Search for evidence-based approaches for the prevention and palliation of hand-foot skin reaction (HFSR) caused by the multikinase inhibitors (MKIs) / R. Anderson 외 4 / Oncologist 2009 17.Hand-Foot syndrome induced by sorafenib, a multitargeted tyrosine kinase inhibitor, in a patient with advanced renal cell carcinoma / Seung Hyun Lee 외 4인. / Korean Jourmal of Pediatrics 2009 18.Hand-foot syndrome associated woth use of sorafenib in a patient with papillary thyroid cancer: a case repport / carlos Velandia-Carrillo 외 2인 / BMC Endocrine Disorders 2014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안전센터 > 알림마당 > 약물이상반응 소개
정확도 : 90% 2022.07.26

심근증은 심장의 근육 자체에 이상이 있는 질환군으로 심장 근육의 병리적 이상과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양상에 따라 임상적으로 세 가지로 나누어 생각하고 치료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확장성 심근증으로 심실이 확장되면서 수축력의 저하와 이로 인해 울혈성 심부전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둘째는, 비후성 심근증으로 좌심실, 특히 심실 중격의 비대칭성 비후를 보이며 좌심실에서 전신으로의 혈액 공급에 장애를 일으키게 됩니다. 세째는, 제한성 심근증으로 심내벽 또는 심근의 침윤으로 심실의 확장기 충만 장애가 일어나게 됩니다. 확장성 심근증 확장성 심근증은 여러 원인에 의하여 심방, 심실의 확장과 심실 수축력 저하에 따른 울혈성 심부전의 증상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병리학적으로 심장의 4방이 모두 확장되고 특히 심실의 확장이 두드러집니다. 원인으로 알려진 것은 바이러스 등이 감염에 의하거나 일부 항암제 등의 약물에 의한 심장 근육 자체의 손상이나 고혈압, 허혈성 심질환, 심장 판막증 등에 의한 이차적인 확장성 심근병증이 있고, 일부 유전적인 경우도 있습니다. 특징적인 증상인 심부전의 증상은 대개 서서히 진행하게 되는데, 초기에는 운동 시 호흡 곤란이 주로 나타나다가 심해지면 안정 시에도 호흡 곤란이 보이게 됩니다. 폐렴 등의 호흡기 감염도 잘 동반하게 됩니다. 발목 부위나 무릎 아래 부위 등이 붓게 되고, 심해지면 복수가 생기면서 간이 커지게 됩니다. 많은 수에서 부정맥이 동반되어 급사의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병이 진행하게 되면 결국 심장의 수축력 장애로 심인성 쇼크나 심실 부정맥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검사는 흉부 방사선 사진으로 심장이 비대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심장 초음파를 통해 확장된 심방과 심실을 관찰하고 좌심실의 수축 기능의 저하를 측정함으로써 확진할 수 있습니다. 심도자 및 혈관조영술로 보다 정확한 심장 기능의 평가가 가능하며 원인 미상일 경우 원인을 밝히기 위해 심근 조직 검사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원인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원인 질환을 치료함으로써 교정할 수 있으나, 예후는 좋지 않아서 일부에서만 장시간에 걸쳐 호전되기도 합니다. 완치가 안되는 경우 생명 연장을 위해 심부전을 악화시킬 수 있는 과도한 운동, 지나친 염류 섭취 등을 피하게 해야 하고, 이뇨제, 혈관 확장제 등의 약물을 투여하게 됩니다. 또한, 심실 부정맥이 있는 경우 항부정맥제를 투여하게 되고, 심장내에 혈전이 생긴 경우 색전증을 방지하기 위해 항응고요법을 시행하게 됩니다. 심한 심부전증을 가진 환자의 경우는 심장 이식 대상이 되며, 증상 완화와 심실 기능의 호전을 위해 심근 절제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비후성 심근증 비후성 심근증은 심근, 특히 심실 중격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져서 주로 좌심실 유출로의 폐쇄를 일으켜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병리학적으로 주로 심실 중격의 비대칭성 비후와 정상 내지 작은 좌심실 내강, 좌심방 확장등의 소견을 보입니다.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가족성으로 발생하여 유전적 경향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 연령에서도 증상이 생길 수 있지만 대부분 10-20대에 빈발하게 보입니다. 호흡곤란이 90%이상에서 생기며, 실신, 피로감, 심계항진, 협심증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무엇보다 심실 빈맥이 주 원인으로 생각되는 급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환자에 따라 별증상이 없이 장기 생존을 하는 경우에서부터 빠른 진행을 보이면서 수년 내에 사망하는 경우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이며, 일반적으로 증상이 어린 나이에 나타날수록 예후는 좋지 않습니다. 검사는 흉부 방사선 사진과 심전도로 좌심실 비대를 확인하고, 심장 초음파를 통해 심실 중격의 비대칭성으로 비후된 소견을 보고 확진할 수 있습니다. 보다 정확한 심장 기능의 평가를 위해 심도자술 및 혈관조영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증상의 완화와 부정맥, 감염, 급사의 발생을 방지하는 데 있습니다. 내과적 치료로 이뇨제, 베타 차단제, 칼슘 통로 차단제 등을 투여할 수 있고, 부정맥이 있는 경우 항 부정맥제를 투여하거나 반복적으로 심한 빈맥을 유발하는 경우 고주파 전극 도자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외과적 치료로 두꺼워진 심장 근육을 절제하는 수술을 하여 증상 완화에는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자연 경과를 바꾸지는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제한성 심근증 제한성 심근증은 다른 심근병증에 비해 드물게 보이며 심실벽이 경직되어서 확장기 심실 충만에 장애를 가져오는 이완기 기능 장애가 특징인 질환입니다. 심근에 체내의 여러 대사 물질이 침윤되거나 저장이 되면서 경직되게 되고, 확장기 심실 충만 장애로 인해 심실에 비해서 심방이 크게 늘어나게 됩니다. 증상은 호흡 곤란 (특히, 운동시)과 무기력, 운동 기능의 저하를 보이고, 복수, 간종대 등의 우심부전의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심장 초음파 검사로 좌심실의 근육이 대칭적으로 다소 두꺼워지면서, 좌심실 기능은 정상이거나 약간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심도자 검사를 시행하여 좌심실 확장기말 압력, 우심실 확장기말 압력, 좌심방압, 우심방압 등이 모두 상승된 소견과 심박출량의 감소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원인 질환이 밝혀진 경우에는 원인 질환을 치료함으로써 교정할 수 있지만, 치료할 수 있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심부전 증상이 있으면 이뇨제를 사용해서 심장의 부담을 줄여 주는 등 대증적인 치료를 하게 됩니다. 필요한 경우에는 항부정맥제, 항응고제, 항혈소판 제제 등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 심장 > 의료정보 > 심장질환
정확도 : 91% 2021.09.10

요약 류마티스 열은 A형 연쇄 구균에 감염을 앓은 환자의 일부에서 발생하는 전신의 염증성 질환으로 임상 양상이 다양하므로 진단기준에 의거하여 진단합니다. 류마티스 열에 의한 염증 반응은 심장의 판막에 반흔이 형성하고, 심염을 일으켜 심 기능의 장애를 초래할 수 있고, 재발시 이러한 병변은 더욱 악화됩니다. 류마티스 열에 이환된 환자에서는 A형 연쇄 구균에 재 감염될 시 류마티스 열이 재발병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러므로 류마티스 열의 발병을 막기 위하여 A형 연쇄 구균 감염에 대한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고, 일단 류마티스 열이 발병되었던 환자는 류마티스성 심질환의 발병을 감소시키기 위해 지속적 항생제 예방 요법을 받아야 합니다. 류마티스성 심질환 류마티스성 심질환이란 류마티스 열에 이환된 환자에서 염증 반응에 의해 심장의 판막이 손상 받은 상태를 일컫는 말입니다. 손상을 받은 심장 판막은 염증 반응의 반흔으로 인해 폐쇄 부전과 협착이 생기게 되며, 이로 인해 심장에 과도한 부하를 주게 되고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의 정도는 심장 판막의 손상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심한 경우에는 울혈성 심부전을 일으켜, 심장이 필요한 혈류를 박출하지 못하게 되고 사망합니다. 심장 판막의 손상은 류마티스 열의 발병 직후에는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판막의 반흔은 대개 평생동안 지속되며, 재발이 되면 새로운 반흔을 형성하게 되므로, 예방이 중요합니다. 류마티스성 심질환은 과거에는 후천성 심질환의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하였으나, 항생제의 발달로 현재는 그 빈도가 많이 감소하였습니다. 류마티스성 심질환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류마티스 열을 예방하는 것이고, 특히 류마티스 열을 앓았던 환아는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지속적인 항생제 예방 요법을 시행받아야 합니다. 반복성 감염의 예방 (2차예방) 필요성 이전에 류마티스 열을 앓았던 환자는 A형 연쇄구균감염 시 류마티스 열 발병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환자들에서는 증상이 없는 A형 연쇄 구균 감염도 류마티스 열로 발전할 수 있고, 심지어 A형 연쇄 구균 감염 시 적절히 치료하더라도 류마티스 열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류마티스 열에 이환된 적이 있는 환자는 감염이 되었을 때 치료하는 것으로는 충분치 않고 지속적인 항생제 예방 요법을 시행 받아 류마티스 열의 발병을 막아야 합니다. 지속적인 항생제 예방 요법은 류마티스 열이나 류마티스성 심질환을 진단 받은 즉시부터 시행되어야 하고, 가족들이 연쇄구균에 감염되었을 때도 치료 받아야 합니다. 지속적 항생제 예방 요법의 기간 예방의 기간은 개인의 발병 위험과 환경 인자를 고려하여 의사의 판단 하에 결정해야 합니다. 재발의 위험성은 이전에 여러 번의 발병하였거나, 마지막 발병 후부터의 기간이 짧은 경우, 상기도 감염의 가능성이 높은 소아 및 청소년, 유아 및 학동기 아이의 부모, 선생님, 의사 및 간호사, 보건의료인, 군인, 인구가 밀집한 지역에 사는 사람들에서 높아지게 됩니다. 환자군 예방요법기간 류마티스 열 발병시 심염이 있었고, 류마티스성 판막질환을 가진 환아 마지막 발병 후 최소한 10년, 최소한 40세 이상 류마티스 열 발병시 심염이 있었으나,류마티스성 판막질환이 없는 환아 10년 또는 성인기에 도달할 때 까지(긴 기간을 선택) 류마티스 열을 앓았으나, 심염이 없었던 경우 5년 또는 21세까지 (긴 기간을 선택) 감염성심내막염의 예방 류마티스 열을 앓은 환아 중 심근의 침범이 있었던 환아는 수술이나 치과 치료 시에 감염성 심내막염에 대한 예방요법을 시행 받아야 합니다. 이때에는 페니실린으로는 충분치 못하므로 의사와 상의하여야 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심장 > 의료정보 > 심장질환
정확도 : 90% 2021.09.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